몇 년 전 한국 사회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나는 가수다’라는 프로그램을 기억하실 겁니다. 아마추어들이 가수가 되기 위해 경연에 참가하는 것이 아니라, 기성 가수들, 그것도 노래 잘하기로 유명한 가수들이 나와서 경연을 하고 한 사람을 탈락시키는 방식이었습니다. 경쟁을 통한 시너지 효과가 있어서 가수들이 최선을 다해 노래하는 모습을 보여줬고, 정말 이렇게 노래를 잘 할 수 있을까, 놀라고 감동하면서 시청했습니다.
그들의 노래와 함께 주목하게 된 현상이 한 가지 있었습니다. 바로 그 프로그램을 선전하면서 자주 사용한 멘트였습니다. ‘신의 음성’‘신의 목소리’‘신들의 무대’라는 표현들이었습니다. 무슨 뜻일까요? 노래의 신이 강림해서 노래하는 것처럼 정말 기가 막히게 노래를 잘 하는 사람들이 나와서 무대를 꾸민다는 말일 것입니다.

그 이후부터 여배우들이 예쁘면 ‘여신,’ 여대생이 예쁘면 ‘홍대 여신’, ‘공대 여신’이라고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누군가가 예능을 잘하면 예능의 신, 음악을 잘하면 음악의 신, 공부를 잘하면 공부의 신, 투자를 잘하면 투자의 신, 축구를 잘하면 축구의 신이라고 불렀습니다. 김성근 감독은 ‘야신’이라 불렸고, 개그맨 유재석은 ‘유느님’이 되었습니다.

이것은 하나의 문화 현상이라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재미있자고 붙인 별명만은 아닙니다. 사람은 누구나 경쟁에서 이기길 원합니다. 더 뛰어나고, 더 높아지고, 더 많이 가지길 원합니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못합니다. 극소수가 승리하고 대부분의 다수는 패배합니다. 승리하는 소수와 패배하는 다수 사이가 너무 멀어져 버렸고, 그 경계에는 넘을 수 없는 높은 장벽이 있습니다. 부럽고 탐나지만 내게는 해당되지 않는 어떤 경지, 성큼 올라서고 싶지만 도저히 극복할 수 없는 상황을 대중들은 ‘신의 지경’으로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나도 그렇게 되고 싶고, 그렇게 하고 싶고, 그렇게 누리고 싶지만, 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내가 할 수 없는 일을 하고 즐기는 바로 그 사람들을 ‘신(神)’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단순한 말장난을 심각하게 생각하는 것 아니냐고 반문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속한 문화는 우리들의 의식을 반영합니다.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이 무엇을 원하고 무엇에 좌절하는지가 정확하게 대중문화로 표현됩니다. 잘하고 싶고, 많이 가지고 싶고, 높아지고 싶은 소원이 판을 치는 세상, 그렇게 하지 못해서 늘 갈급하고 무언가 성취한 이들을 신이라 부르는 세상에서 우리가 살고 있습니다.

이런 세상 속에서 교회와 성도의 사명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세상에게 참 신이신 하나님을 보여 주는 일입니다. 어떻게 하면 하나님을 보여 주는 교회와 성도가 될 수 있을까요? 출애굽기 7장 1절에는 재미있는 표현이 있습니다.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볼찌어다 내가 너로 바로에게 신이 되게 하였은즉 네 형 아론은 네 대언자가 되리니”(출 7:1).

40세의 모세가 동족 히브리인들을 위해 일하고자 했을 때 하나님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광야에서 목자로 40년을 지낸 후 80세의 노인 모세에게 하나님이 찾아오셔서 말씀하십니다. “너를 바로 앞에서 신이 되게 하겠다!” 왜 하나님은 40세의 능력자 모세가 아닌 80세의 노인 모세를 통해서 자신을 드러내실까요?

모세의 삶은 교회와 성도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보여 줍니다. 교회와 성도는 낮아져야 합니다. 겸손해야 합니다. 자신의 생각을 버려야 합니다. 자신의 모든 가능성을 주님 앞에 내려놓아야 합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도우심과 뜻을 간구해야 합니다. 주님과 함께 십자가를 지고 가야 합니다. 비로소 하나님이 그 음성을 들려 주시고, 그 모습을 보이시며, 능력으로 역사하실 것입니다.

거짓된 신들의 세상에 있는 교회의 거룩한 사명을 다시 한 번 기억합니다. 세상 끝날까지 참된 하나님을 세상에 보여 줄 수 있는 영광이 있기를 소망합니다. 인도하심을 사모합니다.

저작권자 © 크리스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